진동, 고압, 충격으로 인한 배관나사부의 액체나 가스의 누설을 방지해주는 제품으로 기존의 테프론 테이프, 오링 등을 대체시켜 줍니다. 스텐레스, 알미늄, 스틸, 동 등의 대구경 배관에 기존의 용접이나 플랜지를 대신하여 Loctite 581 을 적용하면 누수없이 배관연결이 가능함.
Loctite 581 제품은 기존의 Loctite 배관밀봉제의 Upgrade된 제품으로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짐
1. 용접이나 플랜지로만 가능한 대구경 관 (50 ㎜ 까지)에도 나사타입으로 가능하게 함. 2. 배관이 까다로운 스텐레스나 비활성 금속에도 탁월함. 3. 시공이 매우 간편하고, 빠르므로 공사기간 단축 및 인건비의 절감. 4. 진동, 고압, 충격에 의한 배관 나사부에서의 누설을 완벽하게 방지함. 5. 100% 완벽한 밀봉으로 손상된 나사부에도 침투하여 누설을 방지하고, 녹을 방지함. 6. 약간의 오일이 묻어있는 나사산에도 사용이 가능함. 7. 내화학성이 우수하여 부식을 초래하지 않음. 8. 완전경화 후에도 부피 변화가 없음 (100% 고형물) 9. 자체 윤활성이 뛰어나므로 체결이 쉽고, 정확하며 과토킹을 막을 수 있음. 10. 완전히 체결하지 않아도 누수가 발생하지 않으며, 위치 조절이 용이함. 필요시 공구로 분해가 가능하고 나사의 재사용도 가능함. 11. 스텐레스 배관, 원자력 발전소 등의 까다로운 배관에 탁월함. 12. 오염물질이 없으며 식음료가 닿는 곳에도 사용이 가능함. (NSF 승인)
COMMEMT
록타이트 가스켓팅 제품 VS 기존의 가스켓
1.적용관경 : 30㎜ 이상의 대구경관에 테프론 테이프를 적용한 경우 누설의 위험이 있고 특히 50㎜ 이상 관의 경우에는 용접이나 플랜지로 처리하여야 가능하다. 그러나 Loctite 581 은 대구경 관의 밀봉 및 접착이 가능하도록 설계되어 100㎜ 이하의 배관에 적용할 수 있다.
2.적용재질 : 기존의 테프론 테이프는 스텐레스 및 알루미늄합금 재질 금속의 배관에는 누수의 우려가 있어 주의를 요하고 한정적으로 적용해 왔다. 그러나 Loctite 581 은 이러한 비활성 재질의 금속에도 탁월한 밀봉력과 접착력을 발휘하도록 설계되어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다.
3. 체결시 윤활성 : Loctite 581 은 자체 고윤활 성분이 포함되어 있어 체결시 나사산에서의 마찰력을 현저히 감소시키며 마찰계수가 일정하므로 체결이 용이함. 체결토크가 일정함.
4. 도막의 균일성 : Loctite 581 은 나사에 도포되어 체결될때 나사산 사이의 공간을 100% 채워 경화되므로 완전 밀봉될 수 있으나 테프론 테이프는 나사를 감을때 불규칙하게 처리되어 적게 감아진 부위로 공간이 형성되어 밀봉 효과가 떨어짐. 작업이 수작업으로 진행되므로 균일한 도막을 형성하는 것이 매우 곤란 함.
5. 위치 조정 : 테프론 테이프는 일단 위치를 잡은 상태에서 다시 새로운 위치를 위하여 틀었을 경우 기존의 나사부에 공간이 발생 누설을 초래하므로 한번 위치가 잡히면 새로운 위치로 변경할 수 없습니다. 그러나 Loctite 581 은 위치를 잡은 상태에서 초기경화 이내에 위치를 조정하더라도 나사산 사이가 100% 채워지므로 자유자재로 사용이 가능함.
6. 유지 관리 : Loctite 581 은 테프론 테이프와 마찬가지로 밀봉부를 해체하고자 할때는 통상적인 공구를 사용하면 쉽게 해체 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으며, 과도한 맞물림 또는 큰직경 파이프는 약 250℃ 열을 가하면 이를 쉽게 해체할 수 있습니다.
7. 외관 : 테프론 테이프는 일반적인 상태물이 체결되지 않는 나사 부위 까지도 감게되는데 이 경우 테이프 끝부분이 들떠 외관적으로 매우 지저분해보이며 도장을 하더라도 581 은 외관이 깨끗하며 도장이 잘되므로 상품성을 극대화할 수 있습니다.
8. 도포 작업성 : 테프론 테이프를 현장에서 감을 경우는 숙련공에 의해 주의를 요하는 작업이 요구됩니다. 또한 작업시간이 많이 요구되는 반면에 Loctite 581 은 도포 공정이 간편하며 추가되는 작업공정이 없으므로 작업공정의 절감 및 비용절감의 효과가 탁월합니다. 또한 점도가 적당하여 천정이나 수직부위에 도포하여도 흘러내리지않습니다. (점도 : 24,000~80,000 cp : 칙소성 제품)